본문 바로가기

AI로 놀아볼까?

광복절 역사 속 오늘 - 1974년 박정희 대통령 암살 미수 사건

반응형

광복절은 누구나 다 아는 우리가 빛을 찾은 날

일제 치하에서 독립한 소중한 날이다.

 

그리고 근대사

1974년 8월 15일 세종문화회관 광복절 기념 행사에서

당시 대통령 박정희를 암살하려던 사건이 있던 날이었다.

 

한참 박정희 대통령의 연설이 있던 그 때

단상으로 돌진하는 범인은 "탕" "탕 "탕" 총을 쏘고

안타깝게도 이 날 우리나라 헌정사상 처음으로 영부인이 육영사 여사님이 돌아가셨다.

 

바로 범인은 재일교포인 문세광이고 그 자리에서 체포되었고

이는 여러 근대사 역사에서 많이 다루었던 사건이었다.

 

요지는 그런데

 

미드저니를 공부하면서 갑자기 궁금해졌다. 유튜브 등 역사 속 영상을 만드는 사람들이

그 당시 상황들을 어떻게 풀어갈까?

 

미드저니 공부 겸 이것저것 도전해 봤다.

먼저 어설프지만 결과 물이다.

 

#1

 

프롬프트

A high-profile event entrance with people lined up for security checks. The scene features security personnel in black suits and sunglasses, exuding an air of authority. In the queue, a young Korean man in his twenties, wearing glasses and looking visibly anxious, is holding a bag. The atmosphere is tense and formal, emphasizing the contrast between the calm professionalism of the security and the nervous anticipation of the attendees, cyber punk style

 

 

 

#2

 

프롬프트

A dramatic indoor scene at the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during a Liberation Day event. The central focus is on the President giving a speech. A large South Korean flag (Taegukgi) is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background. The scene captures the tense moment when First Lady Yuk Yong-su is being shot during a live broadcast. The atmosphere is charged and historical, with period-accurate details such as the formal attire, the decor of the Sejong Center, and the urgency of the broadcast.

 

태극기 이슈

 

 

 

#3

 

프롬프트

A dramatic indoor scene featuring a young man in his twenties running and firing a pistol. The environment is a closed space, such as an office or a hallway, with intense lighting that emphasizes the urgency and chaos of the moment. The man is in mid-motion, with dynamic action and a look of determination or desperation. The setting should enhance the tension of the scene with details like scattered objects or expressions of shock from others if present, --cref https://s.mj.run/LVpEkrYhcD8 --cw 100 --sref https://s.mj.run/TS6UkJN8DNo --sw 1000

 

별것 아닌것 같아도. 저 화면에서 총 들고 돌진하는 저 사진을 따는게 가장 어려웠다.

 

그 여정은 다음과 같다.

 

첫번째 생성화면

 

 

이 사진을 먼저 생성해 줬다.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처음 범인과 일치하게 하기 위해 동일 인물로 표현해 줄 파라미터 사용

 -- cref 이미지 주소 : 이미지 주소는 생성된 이미지 클릭 > 브라우저 열기 > url 주소 복사

 -- cw 100 : 완전히 똑같은 캐릭터로 해라~

 

그런데 배경이 영 안맞다. 연설하는 장소와 비슷한 분위기로 해야 겠다.

연설장에서 비슷한 패턴을 캡쳐하고

 

총들고 있는 범인 사진하고 배경으로 쓸 아래 사진하고 합성하기로 했다.

 

아래 blend 명령어로 두 그림을 합쳐 보겠다.

/blend image1 image2

 

 박스에 합성할 이미지를 차례대로 넣는다.

 

 

자 그러고 나서 계속 다시 생성해서 아래와 같은 이미지 중에 선택을 하게된 것이다.

안경은 언제 벗었는지.....

 

끝내 연설 단상 위에 있는 태극기는 여러번 생성해도 건곤감리가 제대로 표현이 안된다.

이 얼마나 정교한 태극기란 말인가. 그래서 정 안되겠다 싶어 나중에 파원포인트로 억지로 갖다 붙였다..-.-

누구 아는 사람 있음 댓글로 좀 남겨주세요~

 

만든 결과물을 올리다보니 상당히 어색하다. 올리기 부끄럽기도 하지만 연습하다보면 퀄리티가 점점 더 올라가고 머릿속 상상의 세계를 자유자재로 표현할 수 있는 날이 오리라 다짐한다.

오늘의 성과는 어설퍼도 머릿속에 그린 상황을 표현해 냈다는 것!

 

자~ 하루하루 더 나은 나를 위해서....